본문 바로가기
기상학

고온·다습 시 식중독균 활동 가능성을..

by 그루님 2025. 7. 14.
반응형

고온다습한 날씨,

식중독균은 조용히 번식하고 있다

여름철이면 습기와 열기가 공존하며 우리 생활 속에 ‘불청객’ 하나가 함께 스며든다.
바로 식중독이다.
겉으론 멀쩡해 보이는 음식 안에서,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들이
초 단위로 증식하며 위험을 키워가고 있다는 사실은 대부분 간과한다.

news.samsung.com ;출처

 식중독이란 무엇인가?

식중독은 음식물에 오염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독소 등에 의해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보통 섭취 후 6~24시간 내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탈수, 장기 손상, 면역 저하로 이어지기도 한다.

**한국의 여름 기온(30℃ 전후)과 습도(70~90%)**는
식중독균에게는 번식의 천국이다.


 고온다습이 위험한 이유

식중독을 유발하는 주요 균은 다음과 같다:

균 종류최적 증식 온도특성 요약
살모넬라균 35~37℃ 달걀·닭고기 등 단백질 식품 오염
장염비브리오균 20~37℃ 해산물·생선회, 조리기구 교차오염 위험
황색포도상구균 30~37℃ 손·피부에서 전이, 조리 도중 발생
바실러스 세레우스 25~35℃ 볶음밥·죽·찜에 흔히 번식, 독소 생성
 

이들은 기온이 30도 전후이고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단 몇 시간만 방치해도 수십만 마리 이상 증식할 수 있다.

특히 음식물이 20℃ 이상에서 2시간 이상 노출되면
식중독 위험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있다.

 생활기상지수 ‘식중독지수’란?

기상청은 ‘생활기상지수’ 중 하나로 식중독지수를 제공한다.
기온, 습도, 강수량, 태양 복사량 등을 기반으로 계산되며,
아래와 같이 4단계로 위험도를 안내한다:

  • 0~55: 낮음 (안전)
  • 56~70: 보통 (주의)
  • 71~85: 높음 (경계)
  • 86~100: 매우 높음 (위험)

특히 장마철, 태풍 후, 폭염 지속 기간에는
‘매우 높음’ 단계가 반복되며 식재료 관리에 극도의 주의가 요구된다.


 예방을 위한 5가지 핵심 수칙

  1. 손 씻기 철저 – 조리 전·후, 식사 전 반드시 비누로 30초 이상
  2. 식재료 분리 보관 – 육류, 생선, 채소는 따로 보관하고 칼·도마도 구분
  3. 70도 이상 가열 조리 – 세균 사멸에는 반드시 고온 조리가 필요
  4. 조리 후 2시간 이내 섭취 – 특히 도시락, 김밥, 회 등 즉시 섭취 필수
  5. 냉장·냉동 적정 온도 유지 – 냉장 5℃ 이하, 냉동 -18℃ 이하

추가로 외식 시에는 음식 상태 확인과,
가급적 조리 즉시 섭취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장마철과 폭염 시 더 주의해야

장마철에는 습한 공기와 온도 상승,
폭염기에는 고온 환경과 실내 보관 부주의로 인해
냉장고조차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전력난, 정전 사고, 쿨링 기능 약화 등으로 인해
냉장고 속에서도 온도가 순간적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그 틈을 노려 식중독균은 활동을 시작한다.


 맺음말

식중독은 소리 없이 찾아와 일상 전체를 마비시키는 질병이다.
하지만 기온, 습도, 시간—이 세 가지 변수만 통제해도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

생활기상지수 속 ‘식중독지수’에 귀 기울이고,
조리와 보관에 세심한 습관을 들이는 것,
그것이 여름철 건강을 지키는 가장 단순하고도 과학적인 방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