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기상청 단기예보 API 활용으로
내 지역 폭염 미리 알기
왜 '단기예보 API'인가?
2025년 여름, 체감온도 38도 이상, 습도 80%를 넘는 폭염이
하루에도 수차례 변동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오늘 더울 것 같아”라는 감각적 예측이 아닌,
객관적이고 시간 단위로 분해된 데이터 기반의 날씨 대응이 필수입니다.
바로 그때 필요한 것이
👉 기상청(KMA) 단기예보 Open API입니다.
단기예보 API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단기예보 API(초단기 포함)**는
특정 지역의 기온, 습도, 체감온도, 일사량, 풍속 등을
1시간~3시간 단위로 최대 2일치까지 제공하는 공공 데이터입니다.
예보 구분갱신 간격제공 내용
초단기예보 (UltraSrtFcst) | 1시간 | 1시간 후까지 날씨/기온/강수 |
단기예보 (VilageFcst) | 3시간 | 3일 후까지 기온, 습도, 풍속 등 |
동네예보 (Nowcast) | 실시간 | 소지역 강수/기온/바람 등 |
API 사용법 (일반 사용자용)
STEP 1. 공공데이터포털 가입
- https://www.data.go.kr
- ‘기상청 단기예보 API’ 검색 → 활용 신청 → API KEY 발급
STEP 2. 위치 좌표 확인
- 위도/경도 → 격자형 XY 좌표 변환 필요
- 예: 서울 종로구 = X:60, Y:127
→ [격자 변환기 링크 제공 가능]
실생활 연동 팁 (개발자 없어도 가능!)
✅ IFTTT + Google Sheet:
매일 아침 내 지역 폭염 예보 자동 SMS 알림 설정
✅ 네이버 스마트홈 연동:
API 값을 활용해 에어컨 자동 켜짐 조건 설정
→ “체감온도 33도 이상 시 자동 ON”
✅ 농업/산업용 자동화 시스템:
비닐하우스, 공장 환기 시스템에 연동 가능
(온습도, 복사열 감지하여 자동 대응)
폭염 예보 지표 읽는 법
지표기준의미
T1H | 기온 | °C |
REH | 습도 | % |
WSD | 풍속 | m/s |
PTY | 강수형태 | 0=없음, 1=비, 2=비+눈 |
TCI (체감온도지수)* | 자체 계산 | 기온 + 습도 함수 |
TCI 계산법 예시
체감온도 = 실제온도 + (습도 - 55)/10
→ 습도 75%, 기온 33도 → 체감온도 약 35도
마무리: API는 날씨도 ‘미리 보는 도구’다
“폭염도 데이터로 대비하면, 공포가 아니라 정보다.”
기상청 단기예보 API는 전문가들만의 도구가 아닙니다.
당신이 여는 블라인드, 마시는 물 한 잔, 켜는 에어컨 버튼 하나하나에도
날씨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는 시대입니다.
올 여름, ‘나만의 폭염 대응 시스템’을 API로 만들어보세요.
반응형
'기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산 꼭 쓰세요"…서쪽지방 35도 안팎 가마솥 더위 (0) | 2025.07.10 |
---|---|
'열돔'에 갇힌 한반도...일요일까지 '펄펄' (1) | 2025.07.10 |
2025년 기상 예보 흐름에 맞춰 국지성 호우 예측과 대응전략 ,도시별 국지성 호우 예측 (0) | 2025.07.09 |
**“2025 폭염 대응 매뉴얼 총정리”** (0) | 2025.07.09 |
“올해 장마가 유난히 짧은 이유 – 여름 기후 패턴의 과학적 접근” (0)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