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상학

천리안 2A 위성이란?

by 그루님 2025. 7. 31.
반응형


천리안 2A 위성이란?
– 대한민국이 하늘을 보는 새로운 눈

 

천리안 2A 위성
대한민국이 개발한 정지궤도 기상 위성으로,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기상 변화, 구름, 대기 흐름 등을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데 사용되는 위성입니다.

천리안 2A 위성 제작과정

 

 기본 정보

  • 정식 명칭: 천리안위성 2A (GEO-KOMPSAT-2A)
  • 발사일: 2018년 12월 5일
  • 발사장소: 기아나 우주센터 (남미)
  • 운용 궤도: 정지궤도(지구 적도 상공 약 35,786km)
  • 임무 수명: 약 10년 이상
  • 개발 주체: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 운용 기관: 기상청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어떤 일을 하나요?

천리안 2A는 지구를 24시간 동안 같은 지점에서 바라보는 정지궤도에 있어
한반도와 동아시아 지역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상 관측
    • 구름 모양, 높이, 이동 방향
    • 대기 온도, 수증기량 분석
    • 낙뢰 및 태풍의 중심 추적
  2. 태풍 및 기후 재난 감시
    • 태풍 생성, 이동 경로, 강도 변화 추적
    • 홍수, 폭우, 산불 감시
  3. 황사 및 미세먼지 관측
    • 에어로졸 분포, 황사 이동 경로 예측
  4. 기상 예보 정밀도 향상
    • 수치예보 모델의 초기값 제공
    • 기상청의 단기 예보 정확도 향상

 

 

 관측 장비 – AMI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천리안 2A의 핵심 장비는
다중 분광 영상장비 AMI입니다.
이 장비는 총 16개의 채널을 사용해
가시광선, 적외선, 수증기 등을 다각도로 감지하며
낮에도, 밤에도, 눈이나 먼지 속에서도 대기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예:
    • 가시광선 → 낮 시간 구름 형태
    • 적외선 → 밤 시간 구름 온도
    • 수증기 채널 → 중상층 대기 상태
    • 에어로졸 채널 → 황사 탐지

 천리안 2A vs 기존 위성

구분천리안 1호 (COMS)천리안 2A
해상도 약 4km 최대 0.5~2km
채널 수 5개 16개
관측 주기 15~30분 10분 이하
기능 기상+해양+통신 기상 특화
 

👉 천리안 2A는 기상관측에 특화된 정밀 위성으로,
이전보다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하늘을 읽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요약

  • 천리안 2A는 대한민국의 두 번째 정지궤도 기상 위성입니다.
  • 24시간 실시간으로 한반도 기상 변화를 감시합니다.
  • 구름, 태풍, 황사, 수증기, 낙뢰 등을 고해상도로 분석합니다.
  • 대한민국의 기상 예측력 향상과 재해 대응에 핵심 역할을 합니다.

🌠 한 줄 정리

천리안 2A는 대한민국의 하늘을 읽는 눈,
내일의 날씨를 예측하는 과학의 망원경입니다.

 
 
 
반응형